
실업급여 지급일수, 금액 계산법 및 계산기 활용 방법
실업급여는 퇴직 후 생계가 막막한 상황에서 큰 힘이 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이 실업급여가 정확히 며칠 동안, 얼마나 지급되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업급여가 지급되는 일수는 어떻게 정해지는지, 금액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그리고 온라인 계산기를 통해 쉽게 확인하는 방법까지 단계적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실업급여 지급일수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실업급여는 누구나 같은 기간 동안 받는 것이 아닙니다. 본인의 고용보험 가입 기간과 나이에 따라 지급일수가 정해집니다. 가입 기간이 길수록 지급일수도 길어지고,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일 경우 더 많은 날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 가입 기간 | 50세 미만 |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
---|---|---|
1년 미만 | 120일 | 120일 |
1~3년 미만 | 150일 | 180일 |
3~5년 미만 | 180일 | 210일 |
5~10년 미만 | 210일 | 240일 |
10년 이상 | 240일 | 270일 |


2. 실업급여 금액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실업급여 금액은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 수준으로 지급됩니다. 단, 상한선과 하한선이 정해져 있어 아무리 평균임금이 높아도 일정 이상은 받을 수 없고, 반대로 너무 낮아도 일정 금액은 보장됩니다.
- 2025년 기준 하한액: 하루 64,192원
- 2025년 기준 상한액: 하루 66,000원
예를 들어 하루 평균임금이 10만 원인 사람은 60%인 6만 원이 계산되지만, 하한선이 더 높기 때문에 실제로는 64,192원이 지급됩니다. 반대로 평균임금이 16만 원이면 계산상 9만6천 원이지만, 상한선에 걸려 하루 66,000원만 받을 수 있습니다.


3. 실업급여 계산기 활용 방법
복잡한 계산은 필요 없습니다.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실업급여 계산기를 사용하면 됩니다. 평균임금과 근속기간만 입력하면 정확한 예상 금액이 계산되므로,
실업급여를 준비하면서 자신의 지급 예상액을 미리 알고 계획할 수 있습니다.


4. 반복수급자의 경우 감액될 수도 있습니다
실업급여를 자주 반복해서 받는 경우, 3회부터는 감액이 적용됩니다. 이는 제도를 악용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지급일수는 같지만 금액이 줄어들 수 있어, 자신이 반복수급 대상인지 꼭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실업급여는 단순히 퇴직 후 지급되는 돈이 아니라, 재취업을 위한 준비 시간을 버틸 수 있게 해주는 안전망입니다.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과 기간을 정확히 알고 계획을 세운다면, 훨씬 안정적으로 새로운 출발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계산기는 무료로 제공되니 꼭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